본문 바로가기
생활

일용직, 알바생도 해당되는 주휴수당 계산방법

by 성공지기 2023. 10. 30.

주휴수당에 대한 내용들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저도 회사에 다닐 때는 신경 쓰지 않았던 부분입니다. 하지만 법적으로 정해져 있는 부분이지만 그동안 우리가 신경 쓰지 못해서 받지 못했던 부분도 있을 수 있으니 확실히 따져보고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주휴수당과 관련하여 주휴수당이 지급되는 조건과 기준 그리고 주휴수당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주휴수당 이란?
2. 주휴수당의 지급조건
3. 주휴수당 계산 방법

1. 주휴수당 이란?

주휴 수당은 1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 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 휴일 하루를 더 받게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루에 8시간씩 주 5일을 근무하기로 한 근무자가 1주일에 40시간을 일하고 5일을 모두 출근을 했을 경우 하루치, 즉 8시간의 수당에 대해서 주휴수당이라는 개념으로 추가로 지급을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이 근로자의 실제 근로시간은 총 40시간이지만 법적으로 하루치에 근로시간이 더 추가돼서 근로자에게는 실제로 총 48시간의 근로시간만큼의 급여가 추가로 지급이 된다는 뜻입니다. 근로자는 하루치의 임금을 보너스로 받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에서 정한 근로기준법에 포함된 내용으로 당연히 받아야 하는 권리입니다.

 

2. 주휴수당의 지급조건

주5일 근무제 기업을 기준으로 일주일 중 하루는 주휴일이 되고 1일은 무급휴일이 됩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5인 이상의 사업장이라면 모두 적용됩니다. 주휴수당은 받기 위한 몇 가지의 조건을 충족해야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2-1.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할 것

첫째는 주당 최소 15시간 이상을 근무해야 합니다. 주 5일 기준 각 세 시간 이상을 근로해야 합니다. 근무시간 15시간 중에 휴식시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2-2. 근로계약서상 계약된 근무일수를 채울 것

두 번째로는 근로계약서상 계약된 소정의 근무 일수를 다 채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명시된 근로 일수에 대해서는 빠지지 않고 출근을 해야 합니다. 위 조건에 대해서 충족을 하게 될 경우 근로자 모두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용직이나 아르바이트생이라도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세 가지의 지급조건만 갖춘다면 주휴수당을 받으실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3.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휴수당 계산방법을 알아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5일간 매일 8시간씩 업무를 하는 근로자라면 시급이 9000원으로 계산을 하였을 때 주에 36만 원 곱하기 4주 144만 원이 되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여기서 간과한 게 있죠. 바로 이 수당에는 주휴수당이 제외됐다는 점입니다. 여기에 매주 주휴수당이 붙습니다. 보통 주에 8시간 7만 2000원씩 4주면 28만 8000원이 추가 되게 됩니다. 

 

주휴수당계산기 바로가기



따라서 주휴수당의 개념을 알고 적용받고 계시다면 약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더 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 40시간을 근무하게 되면 주휴시간 8시간을 포함하여 한 달 평균 4.35주에 대하여 총 월 소 초정 근로시간인 209시간이 되게 됩니다. 따라서 2023년 최저시급 9,620원 곱하기 209시간은 월 200만 8,650원이 되게 되죠. 따라서 여기에 자신의 시급 그리고 자신의 실제 주휴 시간을 포함한 근로시간을 대입하여 계산하신다면 자신이 실제 받게 되는 월급여를 산정하실 수 있게 됩니다. 

 

4. 결론

만약 근로자로서 이 주휴수당에 대한 부분이 제대로 지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 노동부에 민원을 제기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장님들은 이 부분에 대해서 꼭 지급을 하시고, 근로자라면 내가 이 주휴수당에 대해서 잘 받고 있는지 확인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경기 침체가 장기적으로 지속이 되면서 모두가 예민해진 가운데 이러한 급여에 대한 부분들이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더욱더 사업자분들과 근로자분들 역시 서로를 배려할 수 있는 상호보완 관계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신청기간

2023년 9월 30일 지급예정이었던 근로장려금을 8월 29일부터 미리 지급하고 있습니다. 22년 정기분 신청은 5월에 끝났지만 아직 신청은 가능합니다. 10% 감액을 받지만 그래도 신청 못 해서 못 받는

howtosuccess.tistory.com

 

 

대중교통비 최대 30% 절감하는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계실 수 있지만 조금 더 알기쉽고 활용하기 쉽도록 풀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howtosuccess.tistory.com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방법 및 주요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받고 이자소득

howtosuccess.tistory.com